

『 2025년 3월 이슈 키워드 』
① AI, 초개인화 시대 ② OTT 유행 ③ 고 서울(GO SEOUL)

초개인화 시대,
마케팅의 핵심은?
이제 소비자는 '나를 위한 브랜드'를 원합니다. AI 기술과 데이터 분석이 발전하면서, 개인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한 초개인화 마케팅이 가능해졌습니다.
넷플릭스는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사용자별 맞춤 콘텐츠를 추천하며 이커머스에서는 AI가 소비자 취향을 분석해 개인 맞춤 상품을 제안합니다.
최근에는 챗봇과 AI 고객 지원 서비스가 실시간 1:1 맞춤 응대까지 제공하며 소비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마케터라면 AI를 활용해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먼저 제안하는 전략을 고민해야 합니다. 행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화된 광고와 이메일을 발송하고, AI 챗봇으로 고객과 즉각적인 소통을 강화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결국, 초개인화 마케팅의 핵심은 소비자가 '브랜드가 나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입니다.
AI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브랜드만이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그들의 충성도를 높이는 데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요?
다시 시작된
OTT 유행
최근 넷플릭스의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스트리밍 시장에서 넷플릭스는 어떻게 다시 주목 받을 수 있었을까요?
그 비결은 콘텐츠 전략과 효과적인 마케팅에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통해 강력한 차별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중증외상센터', '솔로지옥 4' 등 화제성 높은 콘텐츠가 연이어 흥행하며 이용자 유입을 이끌었습니다.
또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과 제휴를 맺어 광고형 요금제를 추가 비용 없이 제공하면서 신규 가입자의 장벽까지 낮췄습니다.
마케터라면 넷플릭스의 전략에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브랜드 간의 전략적 제휴가 이용자 확보에 효과적이고, 구독 모델과 광고 기반 모델도 조화롭게 운영하면 더 많은 소비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는 건데요.
물론, 이전에 독보적인 콘텐츠가 경쟁력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차별화된 콘텐츠를 어떻게 제작할 수 있을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서울 대중교통 통합 브랜드
고 서울(GO SEOUL)
서울시가 2월 24일 버스, 지하철, 공공자전거 따릉이, 한강 버스를 아우르는 대중교통 통합 브랜드 'GO SEOUL(고 서울)'을 출범했습니다.
전국 최초로 교통수단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한 사례가 되었는데요.
GO SEOUL(고 서울)의 로고는 '가다'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GO'를 무한대 기호(∞)로 변형하여, 역동적인 이동과 지속 가능한 연결을 상징합니다.
적용 대상은 기후동행카드로 이용 가능한 4가지 교통수단(버스, 지하철, 따릉이, 한강 버스)이며 2025년 4월부터 교통수단별로 순차적으로 로고와 픽토그램이 부착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도 통합된 아이콘을 통해 대중교통 시스템을 쉽게 인지하고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2025년 3월 깨알 마케팅 용어 사전』
온라인 마케팅에서 꼭 지켜야 하는 것이 있다?
어뷰징(Abusing)
어뷰징(Abusing)은 오용, 남용, 폐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라인 시장에서는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온라인 광고를 하여
광고 수익을 불법적으로 얻기 위한 행위를 말합니다.
소비자에게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온라인 시장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됩니다.
✔ point
비정상적인 웹사이트 또는 앱 접속을 통한 트래픽 증가 의심,
프로그램을 사용한 부정클릭 확인, 유령 계정을 생성하여 콘텐츠 노출 증가,
허위 리뷰 작성으로 인한 피해 등 평소와 다른 상황이 발생한다면 해당 증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효과
- 기업의 신뢰도 상승
- 광고 비용 과금 방지
- 올바른 정보 제공
- 건강한 온라인 시장 형성
- 데이터 분석 및 관리 용이
다음 마케팅 용어는 어떤 것일까요?
궁금한 마케팅 용어는 예지솔루션 블로그를 통해서 알아봐요 :)
